l 천식


한의학에서 [효천]이라고 부르는 천식은 기관지가 여러가지 자극 즉,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어떤 물질이나 감기, 호흡기 감염 및 기타의 


자극 등에 대하여 선천적 또는 후천적으로 과민한 반응을 보일 경우


발생합니다. 어린이 천식은 어느 연령에서나 발병하지만 80~90%


이상은 대부분 4~5세 이전에 나타나며 유전성이 강합니다.


조기에 발견해서 체질을 개선해 주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치료 입니다.

천식의 증상






01. 외인성 천식


외인성 천식은 알레르기 체질을 가진 사람이 호흡을 하는 과정에서 원인이 되는 


물질 즉 집먼지 진드기, 바퀴벌레, 꽃가루, 동물의 털이나 비듬, 곰팡이 등이 기관지로 들어오게 되면 


과민 반응을 일으키면서 여러 가지 증상을 보이게 되는 것을 말합니다.



02. 내인성 천식


내인성 천식 내인성 천식의 원인은 호흡기 감염이나 정서적인 불안 혹은 기후나 습도의 변화에 대한 


과민 반응 등이지만 원인을 알 수 없는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내인성 천식은 주로 40세 이후에 나타납니다. 


외인성과 달리 비염, 아토피 피부염, 알레르기 결막염 등의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것이 특징입니다.



외인성은 하나의 원인물질에 의해 다양한 반응을 보이는 반면, 내인성은 체질이라는 단 하나의 원인에 


의해서만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 성인 환자의 경우 외인성보다는 내인성 천식이 더 많은 편입니다.

호흡곤란, 기침, 천명이 3대 증상으로 숨쉬기가 어려워 숨을 쉴 때마다 헐떡거리고, 기침을 하며, 


가랑가랑 또는 색색거리는 소리가 가슴에서 나는 천명증상이 나타납니다. 


주로 한밤중이나 새벽 또는 이른 아침에 심하고, 오후에는 멀쩡한 경우도 많습니다.



● 기침


발작적이며 희고 끈적끈적한 가래가 동반되기도 합니다. 특히 한밤중과 새벽, 또는 운동 후에 기침이 


심해집니다. 기침 때문에 잠에서 깨어나며 기침과 함께 색색소리가 나거나 느껴집니다.


● 호흡곤란


증상 발작 시 호흡곤란이 나타납니다. 천식을 오래 않아 폐 기능이 감소되면 천식발작이 없어도 움직일 때 


호흡곤란을 호소하게 됩니다.


● 천명


좁아진 기관지 속으로 숨을 쉬느라 공기가 들락거릴 때 발생하는 소리로 천식 환자에게서 주로 들리지만 


기관지가 좁아진 경우에도 들을 수 있습니다. 천식 발작 시에는 폐 전체에서 천명을 들을 수 있지만 


기관지 속의 병변 때문인 경우에는 병이 있는 특별한 부위에서만 들립니다. 가슴답답함 증상이 없는 


평소에도 천식환자는 자극적인 냄새를 맡거나 지하시설 등 공기가 탁한 곳에 있을 때, 급히 움직이거나 


운동할 때 답답함을 느낍니다.

천식의 원인

l 천식의 치료


한의학에서는 폐를 부드럽게 해주며(肺), 가래를 없애주고(法), 호흡이 급박한 것을 멈추게 하며(定喘), 음(陰)을 보해 주는 치료 上)를 위주로 하는데


일단 아토피가 있는 경우는 이것을 선행해서 치료하는 것이 천식을 근본적으로 치료하는데 상당한 효과가 있습니다. 


지나치게 자극적인 음식은 피하고 담백한 음식과 함께 충분한 수분을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뇨작용이 있는 커피, 홍차, 맥주 등은 피하는 것이 좋으며, 알레르기를 유발할 수 있는 음식도 피해야 합니다. 술, 담배도 금물입니다.



01. 면역력 강화


알레르기는 면역체계의 이상으로 한방적으로 허증에 속합니다. 면역체계를 강화함으로써 스스로 이겨낼 수 있는 힘을 길러줍니다.


02. 해독작용


알레르기는 외부인자 알러젠에 의한 반응이므로 면역력 강화와 함께 외부 독을 풀어주어야 합니다. 


기본적 치료에 해독치료를 환약 등으로 병행하거나 면역강화에 해독하는 약을 더해주거나 합니다.


03. 천식치료


발작기에는 폐를 따뜻하게 하고 비위의 기능을 강화시켜 병에 대한 저항력을 기르며 신의 기운을 보하여 타고난 


면역력을 길러주는 치료를 합니다. 밖으로 나타난 증상을 치료할 뿐 아니라 근본치료를 하여 면역능력을 키워 


외부환경에 강한 체질을 만들어 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