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 알레르기 예방수칙



천식이나 알레르기 증상을 일으킬 수 있는 '유발요인'은 집 안팎을 가리지 


않고 온 집 안에 잠복해 있습니다. 굳이 집 밖으로 나가지 않더라도 


콧물, 재채기, 가려움, 눈물이 고인 눈, 충혈 따위의 불쾌한 반응을 


일으키는 온갖 종류의 유발요인을 접해볼 수 있습니다.

01. 먼지와 먼지 진드기 

침대와 침구, 카펫, 천소파, 커튼  


04. 박테리아 

난방 시스템, 에어컨 시스템, 진공청소기 배기장치 등을 통해 순환 


02. 애완동물 비듬  

편카펫 위, 천소파, 의류 


05. 꽃가루 

늦봄과 여름에 잡초, 나무, 풀 등에서 공기로 전달 


03. 곰팡이 

욕실 타일, 에어컨, 지하실의 콘크리트 표면 


01. 침실 / 거실
베개, 매트리스, 침대 스프링에 진드기 차단 커버를 씌웁니다.
그 밖에 모든 침구를 매 주마다 온수에 세탁합니다. 
카펫이나 속을 채운 가구, 무거운 커튼 등을 치우거나 최소화합니다. 
통기구멍에 필터를 씌웁니다. 
애완동물의 접근을 제한합니다.


02. 욕실


샤워 후에는 환풍기를 틀어 놓습니다. 타일 표면과 샤워커튼을 곰팡이 제거 세제로 닦습니다.


03. 식탁 / 주방


약품 처리한 천으로 표면을 닦습니다. 


먼지가 쌓이는 물건을 치웁니다. 카펫과 덮개 천을 치웁니다. 


통기구멍에 필터를 씌웁니다. 식사 준비를 할 때는 환풍기를 틀어 놓습니다. 


냉장고의 물 접시를 자주 비웁니다. 


쓰레기통을 자주 비우고 청소합니다. 


상한 음식은 즉시 버립니다. 냉장고 개스킷을 닦아 말립니다.


04. 실외


집 주변의 배수로를 고칩니다. 


나무와 덩굴의 가지를 쳐서 곰팡이가 좋아하는 그늘이 집에 드리워지는 것을 최소화 합니다. 


잔디를 깎거나 갈퀴질을 하거나 정원을 가꿀 때는 마스크를 합니다. 


밖에서 들어온 후에는 머리를 감고 옷을 세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