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 구안와사
구안와사란 한쪽 눈이 잘 안감기거나, 입과 얼굴의 반쪽이 마비가
와서 반대편으로 돌아가는 것을 말하 는데 이는 아주 흔한 증상이라고
할 수는 없지만 어린 아이에서 청장년, 노령층에 이르기까지 전 연령층에서
고루 발생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한의학에서는 얼굴부위에 분포된 경락에 풍한의 사기가 침범하여 혈맥의 순환장애를 초래하여
경근의 자양이 실조되어 발병된다고 하였습니다. 한의학적 의미로는 중풍과 같은 범주에 속하지만
정도의 차이에 따라 풍한의 기운이 장부에까지는 이르지 않고 혈맥에만 머물러 있어서 비교적 가벼운
마비증상만 나타나는 것으로 보았습니다. 여기서 말하는 풍한이라는 것은 찬 기운과 바람이라는 뜻인데
실례로 하절기에 선풍기를 장시간 직풍을 받는다든지 여행 중에 차창을 열고 잠을 잔다거나 혹은
목침이나 다듬이돌, 바위나 돌을 베고 잘 때와 특히 음주 후에 습하고 냉한 곳에서 잠을 잔 후 흔히
구안와사가 발병됨을 볼 수 있습니다.
l 구안와사의 증상
01. 눈꺼풀 근육을 포함하여 얼굴 한쪽이 먹먹하며 갑자기 마비된다.
02. 마비가 일어난 쪽 귀 뒤쪽의 통증이 간혹 보인다.
03. 마비된 쪽 얼굴이 평평하고 무표정하게 보인다.
04. 맛이 변하고, 침이나 눈물이 나오는 것에 이상이 생긴다.
05. 말이 어눌해 진다.
06. 귀에서 소리가 난다.
07. 머리가 늘 맑지 못하고 두통이 자주 발생한다.
08. 잠이 잘 오지 않는다. 안면이 마비되는 듯하다.
한방치료
대부분의 구안와사 증상은 적절한 관리와 치료가 이루어지면 특별한 후유증 없이 치료가 되지만
사람에 따라서는 어느 정도의 후유증을 남기게 됩니다.
병의 경과는 개인차가 있지만 초기에 약간 증상의 진행을 보이다가 2~3주 정도에 뚜렷한 회복을 보입니다.
이러한 기간을 지나서 4~6주 후에도 회복이 되지 않으면 장기적인 후유증을 남기게 되므로 초기의 치료가 중요합니다.
한의학적으로는 혈맥에서 풍사(風邪)를 몰아내고 관련된 경락, 장부의 문제를 풀어나가면서 근육마비를 풀어낸다는
차원에서 치료방법을 찾는데, 환자의 증상과 체질에 맞는 침 치료를 통해서 경락에 있는 풍한의
사기를 몰아내고 정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조절합니다.
l 구안와사 예방법
1. 과로 등 신체적 피로가 축적되지 않도록 합니다.
2. 지나친 스트레스와 정신적 긴장을 피합니다.
3. 찬바람은 피합니다. 여름철 지나친 냉방도 피합니다.
4. 고혈압, 당뇨 등의 유발인자를 잘 조절합니다.
5. 감기 후에 올 수 있으므로 감기에 걸리지 않도록 합니다.
6.여성들의 경우 임신 말기나 출산 후에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합니다.
8. 일종의 바이러스 감염이므로 외출 후 손발을 잘 씻도록 합니다.
9. 과일과 신선한 채소를 통한 비타민을 충분히 섭취합니다.
10. 과식, 맵고 짠 음식, 찬 음식, 딱딱한 음식 등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