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 통풍
통풍은 우리 몸 안에서 대사 후 만들어지는 요산 이라는 물질이
과도하게 많이 생산되거나 콩팥을 통해 배설이 제대로 안되어
조직에 침착하여 생기는 병으로 처음에 급작스럽게 발병하고 그 통증도
매우 심하므로 통풍 발작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통풍은 젊은 사람보다는 나이가 많은 사람, 여자보다는 남자에게서 훨씬 많이
발생하는 것이 특징이며 가족력도 인정되고 있어서 통풍 환자의 6~18%에서
는 가족 중에도 통풍 환자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습니다.
통풍의 증상
선천적 체질유전, 음주과다. 지방질 음식, 비만, 고칼로리 음식섭취, 과로, 외상, 타박, 강압성
이뇨제의 장기간 복용, 환경적요인 등으로 체내의 음과 양이 조화
대부분은 엄지발가락에서 일어나고 그 이외에 발이나 무릎, 손가락 관절에 통증이 나타나는 수도 있습니다.
통풍의 통증은 아주 심해서 밤에 잠을 못 이룰 정도이며 걷는 것은 물론 신발을 신기조차 어려운 경우도
많습니다. 엄지발가락에 생기는 갑작스런 동통과 혈액 속의 높은 요산치가 진단의 근거가 됩니다.
또 귀 볼이나 다리, 팔꿈치, 손 같은 곳에 요산이 고여 "통풍 결절이라는 혹이 생기는 것도 통풍 진단의
근거가 됩니다. 그러나 단순히 요산치가 높은 것만으로는 통풍이라고 부르지 않으며, 비만, 고혈압,
고지혈증 등과 연관이 있는 경우가 있으므로 이런 병들에 대한 검사도 필요합니다.
통풍의 원인
한방치료
치료의 원인들에 따라 풍, 한, 습, 열 등의 사기를 없애준다거나 어혈이나 습담 등을 제거해 주면 됩니다.
통풍은 올바른 치료를 받음으로써 통증을 없앨 수 있습니다.
그러나 통증이 없어 지고 약을 복용하더라도 재발할 수 있고 요산치가 다시 높아지기도 합니다.
따라서 한번이라도 통풍에 걸린 사람은 그 후에도 의사의 지시를 받으면서 치료를 계속할 필요가 있습니다.
몸 안 에 흡수되어 요산을 많이 만들어 내는 일부음식 즉 내장탕, 곰탕, 알탕, 젓갈, 굴 등은 가급적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비만과 알코올 섭취도 조심해야 하지만 체중감소를 위해서 단식과 같은 극단적인 방법을 쓰거나 급격하게
체중감소를 유도하는 것은 오히려 통풍을 유발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이뇨제와 고혈압약도 통풍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통풍 역시 보다 근본적인 치료를 하려면 체질진단을 하여 체질과 병증에 맞는 한약을 복용하고
다 나은 후에도 계속 체질에 맞는 음식을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