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 요통
평생 동안 전 인구의 60~80%가 요통을 경험해 본 적이 있고 전체 인구의
20~30%가 요통에 시달린다고 알려질 만큼 흔히 사람을 괴롭히는 병이 요통
입니다. 대부분의 경우에서 양호한 진행과정을 보여 2개월 내에 낫게되지만
때로는 심각한 진행과정을 보이는 경우도 있고 또는 만성동통으로 발전하여
오랜 기간의 장애를 초래할 수도 있습니다. 요통의 원인 중 가장 많은 것은
근육의 이상으로 근육의 긴장, 염좌, 구축 또는 위약 등으로
인하여 요통이 발생되고 악화되며 재발이 되고 또 만성화되게 됩니다.
그 외의 원인으로는 퇴행성 변화에 의한 구조적 변화입니다.
즉 추간판 탈출증, 추간판의 퇴행성 병변, 관절의 병변, 척추 전위증 등입니다.
이밖에도 골절, 감염, 골반 및 장기의 병변 등도 요통을 일으킬 수 있으며
근막 동통증후군 등도 중요한 원인이 됩니다.
그러나 이러한 이차적 변형으로 야기된 요통은 30%이하에 지나지 않고,
대부분 70%이상의 요통이 앞에서 이야기한 근육의 이상이며 정확한 원인을 찾기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l 요통발생의 위험요소
01. 나이
02. 80 ° 이상의 척추 측만증
03. 건강이 나쁘거나 체력이 약한 경우 손을 항상 청결히 합니다.
04. 흡연, 알코올, 마약 중독자
05. 정신적 문제 : 스트레스, 불안, 긴장, 피로, 우울 등
06. 두통, 경부통, 하지 동통, 복통, 협심증 등이 있는 경우
한방치료
한의학에서는 요통을 신하, 담음, 식적, 어혈, 좌섬, 풍, 한, 습, 습열, 기요통 등
10여종으로 분류하여 치료하며, 일반 요통은 2~4주정도 치료하면 60~80%의 회복율을 보입니다.
만성의 경우 체질적인 약점을 파악하여 그에 맞는 한약을 복용하여야 합니다.
왜냐하면 요통이 만성화 되는 것은 그 나름대로의 타고 난 약점이 있는 것으로
그에 맞는 보완이 되지 않으면 악화되거나 설령 나아지더라도 다른 형태로 괴롭힐 수 있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통증을 느낌으로써 몸의 이상을 알 수 있고 그에 맞는 대처를 할 수 있는 것입니다.
통증이 고질적이고 만성적일수록 사상의학적인 측면에서 타고난 체성과 그에 따른 약점을 파악하여
근본치료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