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 류마티스관절염



한의학에서 류마티스 관절염은 비증(陣症), 학슬풍(鶴膝風), 역절풍(歷節風),
통풍(痛風)의 범주에 속하며 이는 어떤 원인에 의해 체내에 생성된 어혈(瘀血)
이 관절의 활막에 침범하여 병변이 나타나는 전신성, 염증성 질환
으로 보고 있습니다.

류마티스관절염의 증상

동의보감에 나타난 내용을 살펴보면 그 원인은 '정기(精氣)가 부족하거나 기혈(氣血 )이 허약하여 
우리 몸의 저항력이 떨어진 상태에서 오랫동안 냉(令)하고 습(濕)한 곳에서 기거하거나 땀을 많이 흘린 후 
찬 바람을 쐬면 풍(風), 한(寒), 습(濕)의 나쁜 기운이 외부로부터 침범하여 발병하며, 병을 오랫동안 방치하면 
나쁜 기운이 오장육부(五臟六 )에 이르러 각종 병리적 변화를 일으키거나 다양한 전신증상을 일으킨다.
또한 마음을 애태워 깊이 생각하는 일이 많고 슬프고 화나고 혹은 즐거운 기분을 억제하지 못하거나 음주나 
불규칙한 식생활이 원인이 된다.'고 하여 평소의 건강 관리와 규칙적인 생활을 강조하였습니다.

아침에 관절이 뻣뻣해지는 증상이 나타납니다. 심하면 오후까지 지속되는데 이러한 현상이 6주 이상 장기간 계속


됩니다. 퇴행성관절염에서도 이러한 증상이 나타나지만 대개는 수분 이내에 소실되므로 이와 구별됩니다. 대개 


여러 군데의 관절이 붓고 아픈데 단순히 관절통만 있는 경우와 달리 관절이 붓거나 만져보면 다른 부위에 비해 


더 따뜻하게 느껴지며, 아주 초기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대개 세군데 이상의 관절에 발생합니다. 흔히 생기는 관절의 


순서대로 보면 손가락 가운데 마디와 손가락  시작 부위, 발가락이 시작되는 부분, 손목, 발목, 무릎, 어깨, 팔꿈치, 


고관절, 1, 2번째 목뼈, 턱관절, 앞 가슴뼈 등입니다. 관절염은 대개 양쪽에 대칭적으로 생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류머티스 관절염을 조기에 알 수 있는 증상으로는 관절통 이외에  심하게 날씨에 민감해지거나 눈에 결막염 등의 


눈병이 자주 생기고 피부에 울긋불긋한 반점이 생기며 입 안이  자주 헐고  손가락이 시리거나 찬 기온이나 찬물에 


손가락의 색깔이 변하거나 원인 모르게  쉽게 피로해지는 증세 등이 있습니다.

류마티스관절염의 원인 

한방치료



자연에 비유하여 설명하자면 바람(風)이 심하면 나무들이나 식물들이 휘어지거나 뒤틀려버리고, 찬(雲) 기운이 강하면 


나무들이나 자연이 얼어서 굳거나 뻣뻣해지며, 습기( 濕氣)가 많으면 뻣뻣하거나 퉁퉁 불어버리듯이 


인체에도 풍(風), 한(寒), 습(濕), 사기(邪氣 )가 너무 많이 있으면 위와 비슷한 문제가 발생하게 됩니다.


치료는 발병 초기나 실증(實症)에는 거사(邪) 위주로 하여 풍한, 습사를 몰아내고 경략을 소통시켜 기혈을 잘 흐르게 하면 되고, 


오랜 면역질환과 허증(虛症)에는 거사(邪)와 부정( 扶正 원기를 보하고 면역력을 감화시켜 줌)의 복합치료가 마땅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