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 퇴행성 관절염
관절 연골의 손상을 가져오게 되는 원인으로는 체중 과다, 관절의 외상,
주위 뼈의 질환, 근육의 약화, 관절의 신경손상, 이외에 유전적
인 소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퇴행성관절염
원인
1. 유전성
유전자의 결함에 의하여 연골이 쉽게 손상되어 조기에 퇴행성 변화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가족적으로 발생하며 여자환자의 경우 수지관절의 골격 형성과 관련이 있습니다. 또 태어날 때부터 관절의 모양이 기형적으로 생겨 퇴행성관절염을 일으킬 수도 있습니다.
2. 비만
비만은 슬관절의 퇴행성관절염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특히 중년 이후의 체중 과다는 퇴행성 관절염의 발생과 관련이 있습니다.
3. 근육쇠약
허벅지의 근육이 약한 사람은 슬관절의 퇴행성관절염이 발생할 위험이 많습니다.
4. 외상이나 과도한 사용
무릎이나 고관절 주변의 외상 혹은 과도한
사용은 퇴행성 관절염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운동선수들의 경우 운동 중에 발생하는 외상으로 인해 퇴행성관절염을 일으킬 위험성이
매우 높습니다. 특정 작업으로 인해 일부
관절을 과도하게 움직이게 되며 퇴행성
관절염에 걸릴 수 있습니다.
l 증상
주로 오래 걷거나 서있을 때, 혹은 오랫동안 앉아있다 일어설 때 통증이 생깁니다.
또 계단을 올라가거나 내려올 때 통증이 심해지고 쪼그려 앉으면 통증으로 힘들게 됩니다.
간혹 통증으로 밤에 잠을 자기 어려울 수도 있습니다. 관절통으로 다리를 쓰지 않으면 다리
근육이 약해져 다리가 가늘어 지고 관절통이 더 심해질 수도 있습니다. 주로 관절염은 양측으로 발병하며,
류마티스 관절염과는 달리 전신쇠약이나 피곤함을 일으키지는 않습니다.
한방치료
관절염의 한방치료에서 중요한 점은 항상 관절부위를 따뜻하게 해줌으로써 혈액순환을
좋게 유지해 주는 것이 필요하고, 관절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와 함께 적극적 치료방법으로는 약물치료와 침, 부항, 뜸, 식이요법과 물리치료 등이 있습니다.
퇴행성관절염은 우선 침으로 통증을 경감시킬 수 있습니다.
무릎과 관련된 근육들이 경직되어 있거나 위축되어있는 무릎관절염의 경우 근육이 뭉쳐져 있는
경혈에 침치료법를 적용하면 뻑뻑하던 무릎이 많이 부드러워집니다.
또 통증이 심한 자리에는 온열요법인 뜸치료로 혈행장애를 개선합니다.
한약의 효능과 침술효과의 장점을 하나로 합쳐 상승효과를 보는 약침요법과 침, 뜸, 부항의 효과를
동시에 가지는 봉독약침 또한 좋은 치료방법으로 응용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