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



사람의 신체에서 성장이라는 단어는 신장(키)이 증가하는 것뿐만 아니라 
신체의 각 기관의 크기와 기능이 증가하는 것을 말합니다.
성장은 유전적인 요인이 크다고는 하지만 그보다 후천적인 
노력과 개발에 의해서 많은 차이가 생길 수 있습니다. 
사춘기인 2차 성장기에 가장 두드러진 성장을 볼 수 있는데,
이 때 근골격계 및 장기의 기능을 원활하게 하는 한방성장 치료는 
기대이상의 성장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성장은 다음과 같은 4단계를 거칩니다.

STEP 01

                           - - - -


출생부터 2세까지

(빨리 성장하는 시기) 


STEP 02

                           - - - -


2세부터 사춘기까지

(서서히 성장하는 시기) 


STEP 03

                           - - - -


사춘기부터 15~16세까지

(다시 빨리 성장하는 시기) 


STEP 04

                           - - - -


15~16세부터 성숙기까지

(서서히 성장하는 시기) 


여아는 유방이 커지고부터 초경이 있은 후 1~2년 사이에 성장선이 닫히고 성장을 멈추게 됩니다. 
남녀 모두 사춘기가 지나서 2년정도면성장판이 막히고 성장이 끝나게 됩니다. 
사람의 키가 커진다는 것은 팔과다리의 긴뼈가 늘어나야 하는 것인데
 이와 같이 호르몬의 작용으로 성장판이 막히면 성장이 끝나게 됩니다. 
그러므로 성장장애의 치료는 이 성장판이 닫히기전에 해야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성장은 다음과 같은 4단계를 거칩니다.

l 성장판이란?


골단과 골간사이에는 '성장판'이라고 하는 골단연골이 있는데, 
이 부분에서는 성장호르몬과성장촉진인자의 작용을 받아 뼈를 구성하는 
새로운 세포가 만들어져 뼈의 길이 성장을 담당하고있습니다.
이러한 성장판은 사춘기가 시작되어 성호르몬의 분비가 늘어나기 시작하면 점차 골간처럼 
딱딱한 뼈로 변화하면서 더 이상의 길이성장은 일어나지 않고 멈추게 되는 것입니다. 
이 성장판이 열려 있는지 닫혀 있는지에 따라서 성장치료 효과의 많은 차이가 있습니다.
보통 성장판은 남자의 경우 만 16세, 여자의 경우 만 14세 정도 되면 닫힙니다. 
그러므로 성장판이 닫히기 전에 치료를 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l 골연령이란?


뼈의 성장은 연령과 함께 진행되기 때문에 그 진행상태로 연령을 알 수 있는데 이것을 골연령이라고 합니다.
즉 골연령이란 쉽게 얘기하면 육체적 나이로, 골연령을 측정하면 키가 멈추는 시기를 알 수가 있습니다.
사람의 키가 멈추는 시기가 다른 것도 이 골연령이 실제 나이와 다르기 때문입니다. 
현재 키가 작아도 남들보다 늦게 멈추면 더 클 수 있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 골연령과 현재의 키를 고려하면 최종 성인신장(키)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